영국 대학원 진학

영국대학원컨설팅 문의 - 국제개발분야

All About 크라이스트처치 2013. 10. 3. 12:08

영국대학원컨설팅 문의 - 국제개발분야 


안녕하세요. 홈페이지를 통해 여러분들에게 컨설팅을 해주는 사항들을 보다가 직접 처음 연락드립니다.

제 이름은 000라고 하고, 영국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싶어서 이렇게 메일을 남깁니다.

조금 더 스스로 알아보고 문의를 드리려고 하다가, 업무에 밀려서 기회를 놓쳐버릴까 싶어서,
충분한 사전정보 없이 지원동기만 가지고 먼저 문의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 지원학업분야: 국제개발분야 / 석사과정
- 학사정보 : 000대학교 000학과 학사 / GPA : 0000
- 관련분야 경력 : 0000 직원 ( 0000 입사 / 00근무 : 2010~2012 중순, 000: 2012중순~현재)

석사를 하고싶은 이유는, 학업에 욕심이 있어서 박사까지 하기 위함은 아니구요.
근 4년 동안 현장에서 일을 하면서 부딪히는 많은 의문과 질문들을 풀고싶고 더 낳은 업무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입니다.
특히, 영국이 1년 과정이라서 가능하다면 잠시 휴직을 하고, 학업을 마친 후 다시 업무에 복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해외근무계약이 2014년 8월까지라서, 기간이 맞다면 해외근무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인 2014년 9월부터 1년 휴직을 하고 
학업에 돌입하고 싶습니다. 

일단 정보를 통해서 들은 바로는, 국제개발 쪽은 멘체스터, SOAS, LSE를 보통 추천하더라구요.
근데, 사실 저의 영어실력이 아카데미적으로 많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보유하고 있는 ILETS, 토플 성적도 지금은 없구요.
제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이 나라에서도 ILETS 또는 토플 시험을 응시할 수 있어서, 지금부터 바싹 준비해서 12월 쯤에 시험을 칠 계획 중에는 있습니다.그리고 000 직원의 급여가 노록치 않은터라, 여러가지 장학금을 알아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마음은 원이로되, 바쁜업무들에 미뤄져서 실제적인 행동을 취하지는 못하고 있어 이렇게 메일을 먼저 쓰게되었습니다. 제가 답변을 주실만한 충분한 정보를 말씀드렸는지 모르겠네요.

결론적으로 이 시점에서 준비해야하는 부분들, 준비기간, 지원가능한 대학, 기타 조언, 앞으로 진학 컨설팅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 지 등의 답변을 얻고 싶습니다. 


그럼 회신부탁드립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이호영입니다. 


이메일을 읽어보니, 어느정도의 경력, 그리고 학부전공과 국제개발분야(혹은 사회정책)이런 분야와 일치를 하고 있네요. 

특히나 다행인것은 영국대학원지원시 중요한 부분이 학점인데, 학점도 높은 수준이기때문에,지원하는데에는 

너무 큰 무리가 없겠습니다. 


하지만, 요즘 문의를 받아보면서 생각을 하게 되는 점인데, 국제개발과 관련해서 예전과 달리, 상당히 지원자들이 상당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학부생들같은 경우에는 실습경험, 혹은 자원봉사의 경험(해외자원봉사)의 

계기로 국제기구에서 장래에 일을 하기 원하시는 분들도 있고, 어느정도 국제개발과 관련이 있는 학부의 전공, 정외과, 국제학부, 

개도국의 언어를 전공하시는 분등 여러 부류의 분들의 문의가 있었던것이 사실입니다만, 

000씨께서는 국제개발을 지원하기에는 가장 일반적인 코스를 밟아오신것 같습니다. 


학점이 어느정도 받쳐주지, 상위권의 학교만 지원하시기기를 저는 권하겠지만, 이와 함께 영어는 어떻게 따라와줄지도 고민해 볼 부분입니다. 개도국에서 근무를 할정도면, 영어에 대해서 너무 고민할 부분은 아니겠지만, 

옥스포드, 캠브리지는 아이엘츠 7.5(토플 1110 점) 정도이기때문에, 영어점수를 가지고 컨디셔널 오퍼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영어점수를 성취하는데,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영국대학원이 9월말/10월 초에 시작하기때문에, 시간계획상으로는 문제가 없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대학원 졸업후의 커리어적인 면을 보았을때는 전공보다는 학교의 평판을 보는것이 훨씬 좋겠다는것이 

학부에서 000를 공부하고 LSE 에서 사회정책을 공부한 저의 견해입니다. 물론 저 같은 경우에는 

국제개발이나,000쪽으로는 직업으로 삶지는 않았지만, 유학 다녀온후 대기업에 들어가서 사회생활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장학금을 지원받으려면, 여러가지 알아보셔야하는것이 많은데요. 실질적으로 이제까지의 지원자들을 보면서, 

대학원에서의 장학금이나, 혹은 휴직을 하는 기간동안, 회사(기관)에서 비용을 지원해 주는것외에는 

외부 장학금을 받고 진학을 하는 경우는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컨설팅을 함에 있어서 CV, 이력서(자기소개서), 학부성적표가 우선 필요하겠구요.

컨설팅인 만큼 학교선택, 전공선택, SOP, CV, 추천서에 대한 조언 및 교정은 당연히 하고 있구요. 

모든 교정은 원어민 교정을 최종으로 다시 받게 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연락주시구요. 



이호영 드림